-
[스크랩] 검의 종류스크랩 2015. 5. 27. 17:50
<검의 종류>
도 검(刀劍) : 칼과 검.
도 자(刀子) : 작은 칼.
도 필(刀筆) : 옛날 중국에서 종이가 발견되기 전 죽간에 문자를 기록하던 붓과 그 틀렴을 깎아 내리던칼.
검(劍) : 병기 내지는 살상용 칼로서 곡선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환 도(環刀)
① 패용에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칼집과 고리가 있는 칼
② 보졸일 경우 길이가 1척 6촌, 너비가 7푼
③ 마병일 경우 길이가 1척 7치 3푼, 너비가 7푼* 패 검(佩劍) : 병기 내지 살상용 칼로써 우리말로 환도(環刀)라한다.
군 도(軍刀) : 칼집은 어피(魚皮)로 싸고, 칠은 검은칠을 하고, 장식은 은(銀)대신 황동을 사용하며, 홍조수아로써 드리우고 띠는 가죽으로 한다.
운 검(雲劍) : 임금의 좌우에서 검을 잡고 호휘하는 관원의 칼. 칼집은 어피(魚皮)로 싸고 칠은 주홍색을 사용하며, 장식은 백은 (白銀)으로 하며, 홍수조아로써 드리우고 띠는 가죽으로 한다.
난 도(鸞刀) : 종묘(宗廟)에서 희생(희牲 : 제물로 쓰는 산 짐승)을 베고 끊는 칼인데, 고리에 방울이 있고, 칼 끝에도 방울이 있다.용광검(龍光劍) :단군고기에 나오는 해모수가 찬 전설의 칼.
당상보검(堂上寶劍) :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상의 관직인 당상이 국왕이 좌정하는 전상(殿上)에서 의장(儀仗)의 하나로써 설 때 받드는 보검이다.
쌍수도(雙手刀) : 자루 길이 1자 5치, 날의 길이 5자. 한쪽에만 날이 있고 칼 등쪽으로 젖혀져 베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으며, 날의 자루 쪽에 길이 1치의 구리로 된 횡인(護刃)이 있다. 칼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두 손으로 자루를 잡고 사용함. 이것을 사용하는 무예를 쌍수도(雙手道)라 한다.
예 도(銳刀) : 본래 단도(短刀)라 일컬음. 환도 또는 검이라고도 한다. 쌍수도와 비슷한 모양으로 자루의길이 1자, 날의 길이 3자 3치.
월 도(月刀) : 언월도(偃月刀)라고도 함. 자루의 길이 6자 4치 날의 길이 2자 8치. 날 등의 중간에 기인(岐刃)이 있고 그 끝에 술을 장식하였음.
도 여(刀礪) : 숫돌과 칼.
비 수(匕首) : 칼집과 칼자루의 크기가 거의 같으며, 날이 몹시 예리해 흉기로 사용된다.
단 도(短刀) : 칼자루가 붙박이로 된 짧은 칼로, 주로 찌르는데 쓰인다. 길이 28 cm 이내의 칼을 말한다.
협 도(挾刀)
① 모양은 월도와 비슷하며 자루 길이 7자도 그것을 쓰는 무예를 협도라한다.
② 날의 길이가 3자, 자루의 길이가 7자,무게가 4근인 일종의 치도이다.
오늘날의 도검은 실제 수련하는 수련도와 장식을 위한 장식용 검으로 구분할수 있다. 요즘 많이 유통되는 장식용 도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칠성검(七星劍)
칠성검은 조선조 중기에서 후기쪽에 가까운 검으로 궁궐 무관들이 주로 패용하고 있던 검이었다. 표면에 7개의 별자리가 있는데, 6번째 별에는 특별한 생김새의 별을 새겼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칠성검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검을 제작 판매한다. 길이 94cm 중량 1.4kg
한국도(韓國刀)
한국도의 특징은 날끝이 예리하지 않아 모든일을 격하지 않고 신중히 처리하던 옛 선비의 자비로움을 느끼게 해준다. 한국도의 외형은 다른 것에 비해 화려하며 장식이 많아 해(害)하기보다는 평화를 추구하는 활인검이라 할수 있다. 대 : 길이 101cm 중량 1.6kg, 소 : 길이 75cm 중량 1.4kg
사인검
사인검은 조선조 중기에 왕들이 장식용 또는 호신용으로 지녔던 검이었다. 여기에서 사인이란 12지간 중에 호랑이를 뜻한다. 인해와 인달, 인날, 인시에 열처리한 것으로 60년만에 한 자루를 제작하는 진귀한 검인 것이다. 사인검은 표면에 사인검을 설명하는 한자 27자가 순금으로 세겨져 있다. 이 글은 사인검이 용맹스러움과, 사인검이 갖고 있는 영험한 신비를 알려주고 있다. 칼집은 어피(철갑상어 껍질)로 되어 있고, 손잡이는 동으로 되어 있으며 순금으로 사인검이라 상감되어 있다. 길이 94cm 중량 1.4kg
삼인검
삼인검은 조선조 중기에서 후기까지 이르는 장식용 검이었다. 삼인검은 사인검과 같이 왕족이 지녔던
검이다. 삼인검 역시 호랑이의 용맹스러움이 간직된 검이다. 그러나 왕족은 왕의 신분에 비할 수 없어
세 마리 호랑이, 즉 인해와 인달 인날에 제작되는 검이다. 삼인검도 사인검처럼 60년만에 만들어진다.
사인검은 인시의 2시간동안 한 자루가 만들어지지만, 삼인검은 인날에 통틀어 만들어진다. 길이 94cm 중량 1.4kg
화랑도옛 무인들이 화랑오계(충효신용인)에 그 뜻을 두고 무예를 연마하며 사용하였던 검이다. 손잡이의 형태는 수련중 손에 땀이 차면 스며들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면으로 된 끈을 사용하여 견고하고 튼튼하게 묶어 수련하기 편리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대 : 길이 101cm 중량 1.6kg, 소 : 길이 75cm 중량 1.4kg
출처 : LeT`s Go 소설길드『★』글쓴이 : 『死天靈』 원글보기메모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의 산과 섬 몇개나 될까 (0) 2015.10.06 [스크랩] 새로이뜬 저작권 사냥꾼들.. (0) 2015.09.12 [스크랩] 황제들의 강장제 육종용환 (0) 2015.05.24 [스크랩] 바다밑 `여왕의 전설` 이집트 클레오파트라궁 발굴 (0) 2015.04.30 [스크랩] 그랜드캐넌의 생성과위치 (0) 2015.04.30